오늘은 하이트진로 주가전망과 배당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모두가 아는 참이슬, TERRA또한 하이트진로에서 생산됩니다.
1. 기업개요
하이트진로는 1924년 10월에 설립 되었으며, 1973년 6월에 기업공개를 하였습니다. 2003년 1월 유가증권 상장규정에 따라 한국거래소에서 상장폐지 되었으나, 2009년 10월 19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코스피)에 재상장 되었습니다. 당사는 맥주사업, 소주사업, 생수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하이트진로의 외국인 보유율은 9.39%입니다. (8월 25일 장마감 기준)
2. 사업개요
(1) 맥주부문
현재 국내 맥주 시장은 2022년 출시된 신제품이 약 120여개가 될 정도로 수 많은 브랜들이 시장 내 각축을 벌이고 있는 초경쟁 시장입니다. 하이트진로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변화하는 시장과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가성비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365ml캔, 1.9L페트를 신규로 출시하여 성공적인 성과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제품 켈리 출시를 통해 메인 브랜드 테라와 연합작전을 펼쳐 국내 맥주 시장을 반전시키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출시한 신제품 켈리는 기존 라거에 대한 모든 편견을 파괴하며, 맥주 본질에 집중하여 주질/원료/공법/패키지/제품명에서 기존 라거에서 보여주지 못한 라거의 반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9년 3월 추시한 청정라거 테라는 2022년 11월 테라 SINGLE MALT 에디션을 출시하며 2023년 6월 기준 39억병 판매를 돌파하였습니다. 이오ㅣ에도 당사는 맥스, 스타우트, 망고링고 등 당사만의 브랜드 자산을 활용한 수제맥주 '크라운'과 '갓생폭탄' 맥주 등의 제품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온/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소비자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2) 소주부문
국내 소주 시장은 소비자 니즈에 맞춘 레귤러/프리미엄 제품이 지속 출시되며 경쟁 강도가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는 이러한 강도높은 경쟁상황에서도 국내 NO.1 주류 회사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소주 시장 부동의 1위 브랜드인 참이슬은 국내를 넘어 미국, 일본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참이슬 열풍을 일으키며 소주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진로는 NO.1 주류기업으로서 누적된 오랜 헤리티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뉴트로 트랜드를 반영한 신제품으로 2019년 4월 출시 이후 2023년 6월 기준 15억병 판매를 돌파하는 등 소비자들의 큰 사랑을 받으며 참이슬과 함께 주류 시장을 리드하는 브랜드로서 위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2년 11월에는 소주 페트류에 재활용이 용이한 에코탭 라벨을 적용하는 등 대한민국 대표 NO.1 주류기업으로서 친환경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3) 생수부문
국내 먹는샘물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2%이상 성장하며 2023년에 2조 3천억원 규모까지 성장할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이트진로음료, 제주개발공사, 롯데칠성음료, 농심, 해태, 동원, 풀무원 등의 시장 점유율 합계가 70%를 넘으며, PB는 20%에 이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생수와 더불어 물 대용으로 마실 수 있는 RTD 차음료 시장규모는 판매액 기준으로 약 7000억 규모로 추정됩니다. 하이트진로음료의 블랙보리는 국내 최초로 신품종 검정보리를 추출해 만든 보리차로 진하면서도 깔끔하다는 장점을 내세워 2023년 6월 기준 누적 판매량 3억5천만병을 돌파하였으며,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약 5% 가량 성장했습니다.'하이트제로'는 국내 최초의 무알코올 맥주맛 음료이자 국내 최초 무알코올, 무칼로리, 무당류의 '올프리' 컨셉으로 차별화를 모색하고, 시장의 선두 자리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제품력 개선 및 제품 확장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3. 하이트진로 실적분석
- 2020년 매출액: 약 2.2조 영업이익: 1,985억
- 2021년 매출액: 약 2.2조 영업이익: 1,741억
- 2022년 매출액: 약 2.4조 영업이익: 1,906억
- 2023(E) 매출액: 약 2.5조 영업이익: 1,173억
하이트진로의 실적을 보시면 꾸준히 매출액은 2조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 부분에선느 약간 아쉬운 보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매출액은 증가하는데 영업이익률이 감소하다보니 이러한 결과가 나온거 같습니다. 하지만 부채비율은 감소하였고, 유보율도 증가하는걸 보니 기업이 탄탄해지고 있는거 같습니다. 또한 주당 배당금 성향도 올라가고 있어 나쁘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4. 하이트진로 배당금
하이트진로의 배당내역을 보시면 배당락일은 12월마지막 주이고, 배당 지급일은 4월초에서 4월 중순사이에 지급하는것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하이트진로는 2020년에는 시가배당률이 2.35%였는데 2022년에는 시가 배당률이 3.72%로. 이는 코스피 시가 배당률 평균 2%초반인걸 생각하며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이는 하이트진로는 주주환원을 잘해주는 회사인걸 나타냅니다. 장기투자 하실 분들은 이점 참고하시고 투자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5. 얼마에 매수하고, 얼마에 매도하나?
매수가격: 19,500원 부근에서 매수 추천드립니다.
1차목표가: 23,500원(50%매도)하시고,
2차목표가: 27,000원 전량매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