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두산로보틱스 상장,상장일과 수요예측(기업분석, 실적분석)

노손절 2023. 9. 13. 12:00

오늘은 두산로보틱스 공모주의 상장일과 수요예측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어느 증권사로 두산로보틱스를 공모하는게 좋은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아마 올해 공모주중 가장 인기가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두산로보틱스

1. 기업개요 및 사업개요

두산로보틱스는 2015년 7월 3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산업용로봇, 그 중에서도 협동로봇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5년 4개 모델의 협동로봇을 개발을 완료한 후 로보월드, Automatica, Automate 등 세계 메이저 박람회에 참가하며 국내 및 해외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이후 2020년 6개 모델을 출시하면서 협동로봇 시장에서 최대 라인업을 보유한 기업 타이틀을 얻게 되었습니다. 2021년 판매량 기준 글로벌 Top 4 진입에 성공하여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서 입지를 굳혔습니다.

 

두산로보틱스는 협동로봇 제조업체에 한정되지 않고 로봇 생태계를 구축하는 로보틱스 플랫폼 Provider로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R&D 강화 및 신제품 개발, 판매량 확출, 신사업 진출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아울러 당사는 단기간 내 B2B 로봇 시장의 Scale 선점 후 AI Vision 및 MOMA를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내 고도화 로봇 시장을 개척하는것을 목표로 장기적으로 범용적인 로봇, B2C 로봇까지 확정하여 최종적으로는 종합적인 로봇 솔루션 사업으로 거듭날려고 합니다.

두산로보틱스 제품

2. 공모개요

두산로보틱스는 총 1620만주를 공모하고, 공모가는 21,000원~26,000원을 제시하였습니다. 아마 공고가는 26,000원으로 정해질것으로 예상되며 상단금액은 약 4,212억원 시가총액은 약 1조 6,853억원으로 꽤 큰 공모주 입니다. 청약은 9월 21일(목) ~ 9월 22일(금) 진행되며, 환불일과, 배정공고일은 9월 26일(화) 입니다. 두산로보틱스의 상장일은 10월 5일(목)입니다. 청약가능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공동대표주관을 맡았고, NH투자증권, KB증권, 크레디트스위스(CS)증권이 공동 주관사로, 키움증권, 신영증권,하나증권, 유비에스 증권이 인수회사로 참여하게 됩니다.

 

3. 어느 증권사가 유리할까?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배정물량이 가장 많지만 청약당일이 되어야 정확한 경쟁률을 알 수 있습니다. 청약당일 날 청약경쟁률이 낮으며 공모수량이 많으 증권을 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대부분 청약수수료가 2,000원입니다. 하지만 KB증권은 1,500원 심지어 키움증권은 수수료가 없다는게 큰 강점이기도 합니다.

 

4. 증권사별 청약단위

(1)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하나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하나증권의 최소 청약 주식 수는 20주 이상이며, 공모가가 26,000원으로 잡히게 된다면 최소 520,000원을 공모에 참여하셔야 됩니다.

(2)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신영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신영증권의 최소 청약 주식 수는 10주 이상으로, 공모가가 26,000원에 잡히게 된다면 공모에 참여하실려면 260,000원이 필요하게 됩니다.

 

4. 두산로보틱스 실적

단위: 백만원

두산로보틱스의 실적을 보시면 2020년 매출액은 약 200억원이며, 영업이익은 -138억원입니다. 2022년의 매출액은 449억원 영업이익 -132억원 이며, 실적을 보시면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긴하나 영업손실은 줄이지는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산로보틱스는 실적을 보고 투자하는 기업이 아닌 향후 기대감이 매우 큰 기업으로써 층분히 공모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5. 두산로보틱스 주가전망

두산로보틱스는 현재 실적이 좋은 회사는 아니며, 향후 기대성으로 투자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공모하시는거는 상관없으나 직접 투자하시기에는 조심할 필요는 있습니다. 아직 로봇 시장이 초기 단계이며 분명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올해 예상 매출액은 670억원이고, 2026년의 예상 매출액은 7,663억원으로 12배 이상의 성장성을 전망하고 있기 때문에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가 상장하면 최소 따상을 할것으로 보이고, 따따상까지도 층분히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